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오늘은 전세대출을 더 저렴한 곳으로 갈아타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.

    대출이자 1%면 매월 내는 이자의 부담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     

   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 란

    아파트뿐 아니라 오피스텔, 빌라, 단독주택 등 모든 주택에 대한 보증부 전세자금 대출을 보다 낮은 금리의 신규대출로 갈아타는 서비스를 말합니다.

     

    보증부 전세자금 : 한국주택금융공사, 주택도시보증공사, SGI서울보증보험 등의 보증서를 담보로 한 대출

     

    1. 전세대출 갈아타기 대상 

     아파트·빌라·단독주택 포함되며 월세보증금도 대환대출 대상입니다.

     

    2. 갈아타기가 불가능한 경우

    - 기존 대출이 연체 상태이거나 법적 분쟁 상태인 경우에는 불가능하다.

    - 정부가 지원한 저금리 정책금융상품이나 지자체와 금융사 간 협약 체결을 통해 취급된 대출 

     ※  주의해야할 점은 기존 대출 보증기관과 동일한 보증기관의 대출로만 갈아타기가 가능하다는 점이다. 예를 들어 주금공 보증부 대출을 기존에 받았을 경우에는 대출 갈아타기 역시 주금공 보증 대출상품으로만 가능하다

     

    - 대출 가능기간이 있는가

     현재로서는 기존 전세대출 뒤 3~12개월과 22~24개월(전세계약 갱신 때 한함)에만 갈아탈 수 있다. 전세대출 보증기관 별로 기간 제한이 다르기 때문이다. 다만 보증기관 등과 협의를 거쳐 이르면 7월부터 전세대출 뒤 3~24개월 모든 시점에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해지도록 할 계획이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갈아타는 방법 

    토스 등 플랫폼서 비교하거나 14개 은행앱에서 직접 환승, 소득서류 다시 낼 필요 없어 전세 갱신 때 한도증액도 가능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- 갈아타기 가능 상품을 비교해 보는 방법

    ▷ 우선 네이버페이, 카카오페이, 토스, 핀다 등 4곳 대출비교 플랫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
     

    해당 플랫폼들은 보증기관이 동일한 신규 전세대출 상품만 비교 추천해 보여줍니다.

     

    다음으로 KB국민은행, 신한은행 등 14개 은행 앱을 통해 갈아타는 방법이 있습니다. 다만 이 경우에는 금융사 별로 제휴한 보증기관이 다르다는 점을 참고하셔야 합니다.

     주택도시보증공사와 SGI서울보증보험은 일부 은행과 제휴를 맺지 않았고, 때문에 전세대출 갈아타기가 안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- 대출 한도

    ▷ 대출 한도는 기존 대출 잔액 이내로 제한됩니다. 다만 전세 계약을 갱신하면서 보증금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대출 한도 증액이 가능합니다. 이때 대출한도 증액은 보증기관별 보증한도 이내에서만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- 대출 신청 때 제출해야 할 서류

     ㅇ 소득 증빙 등에 필요한 서류(대출자가 동의할 경우 금융사가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별도 제출이 필요 없음),

     ㅇ 확정일자가 담긴 전세 임대차 계약서와 전세 계약금 납입 영수증(스마트폰 촬영 등을 통해 비대면 또는 영업점 방문을       통해 제출)

     

    - 대출 갈아타기 때 집주인 동의는 필수사항은 아니지만 대환 시점에 임대차계약 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금융사가 집주인에게 계약 사실 확인 요청을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< 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참여 기관 >

     

     1.31일 기준, 금융소비자는  21개 금융회사에서 받은 기존 전세대출 14개 금융회사의 신규 전세대출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다.

     

    < 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에 참여하는 21개 금융회사 >

    은행(18) 농협, 신한, 우리, SC제일, 기업, 국민, 하나, 대구, 부산, 광주, 전북, 경남, 제주, 케이, 카카오, 수협, 토스, 씨티
    보험사(3) 삼성생명, 삼성화재, 롯데손보

     

      총 4개 대출비교 플랫폼 14개 금융회사의 자체 앱을 통해 자신의 기존 전세대출을 조회하고, 이를 다양한 금융회사의 전세대출 상품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. 향후 참여 기관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     

    < 전세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한 대출비교 플랫폼, 금융회사 앱 >

    대출비교 플랫폼
    (4)
    네이버페이, 카카오페이, 토스, 핀다
    금융회사 자체 앱
    (14)
    신한은행, 국민은행, 우리은행, 하나은행, 농협은행, IBK기업은행,
    대구은행, 부산은행, 광주은행, 전북은행, 경남은행, 케이뱅크, 카카오뱅크, 수협은행

    * 앱 이름은 금융회사명과 다를 수 있음 ( : 신한은행 - 신한SOL)

    반응형